티스토리 뷰
목차
제26회 한국 대표 독립영화제의 모든 것

2025년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가 다시 한번 영화 팬들과 창작자들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며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성대하게 개최됩니다. 실험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주국제영화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독립·예술영화제이자,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영화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는 특히 ‘우리는 늘 선을 넘지(Beyond the Frame)’라는 도전적인 슬로건 아래, 영화의 경계를 확장하고 자유로운 예술적 실험을 담은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의 핵심 정보와 특징, 프로그램, 시상식 등 관람객들이 꼭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전주국제영화제 2025 – 개최 개요 및 일정




- 개최 기간: 2025년 4월 30일(수) ~ 5월 9일(금)
- 개막식: 4월 30일(수),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시상식: 5월 6일(화),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폐막식: 5월 9일(금),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제17회 전주프로젝트: 5월 4일(일) ~ 5월 6일(화)
이번 영화제에서는 총 57개국 224편의 작품이 상영되며, 그중 국내 작품이 98편(장편 42편, 단편 56편), 해외 작품이 126편(장편 106편, 단편 20편)으로 구성됩니다.
프리미어 현황도 눈에 띕니다
- 월드 프리미어: 81편
- 인터내셔널 프리미어: 4편
- 아시안 프리미어: 51편
- 코리안 프리미어: 63편
2. 상영관 및 주요 행사 장소




전주 전역을 무대로 펼쳐지는 전주국제영화제는 다음과 같은 장소에서 진행됩니다.
- 상영관 총 6개 극장, 22개관
-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
- CGV 전주고사
- 메가박스 전주객사
- 전주시네마타운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개막식)
- 전주프로젝트: 글로스터호텔 전주, 메가박스 전주객사
- 100 Films 100 Posters: 팔복예술공장 외 다수 전시장
- 기타 행사: 영화의거리 및 전주시 전역
3. 주요 프로그램과 특징




가능한 영화를 향하여
영화의 위기 속 새로운 대안을 찾기 위한 특별전으로, 저예산·독립 제작의 창의적 사례를 조명합니다. 이 섹션은 영화 제작과 투자에 직접 참여해 온 전주국제영화제만의 철학이 담긴 프로그램입니다.
다시, 민주주의로
‘프론트라인’ 섹션 내 소섹션으로, 민주주의의 위기를 겪고 있는 세계 각국의 현실을 다룬 다큐멘터리 6편을 소개합니다. 브라질, 미국, 수단 등의 사례를 통해 사회적 이슈와 영화의 만남을 선보입니다.
한국영화 특별전
- 배창호 특별전: 대중성과 실험성을 동시에 추구한 1980~90년대 대표 감독 배창호의 대표작과 다큐멘터리 상영
- 고 송길한 작가 추모 상영: 미완성작 <비구니> 특별 상영, 송 작가에게 특별공로상 수여
J 스페셜: 올해의 프로그래머
배우 이정현이 프로그래머로 참여하여 직접 큐레이션한 영화들을 관객들과 공유합니다. 배우에서 가수, 다시 영화인으로 돌아온 그의 영화관을 엿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전주시네마프로젝트
올해는 단 한 편, 이일하 감독의 <호루몽>이 상영됩니다. 재일동포 여성운동가 신숙옥의 삶을 통해 일본 내 차별 현실과 투쟁을 조명하는 의미 있는 다큐멘터리입니다.
가치봄(배리어프리) 영화 상영 확대
배리어프리 영화 관람을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수어통역, 화면해설 등)를 지원하며, 전주국제영화제만의 포용적 영화문화를 선도합니다. ‘가치봄 영화의 날’도 새롭게 운영됩니다.
4. 운영 변화 및 부대 행사




관람 편의 극대화
수요일 개막 후 이어지는 6일간의 황금연휴를 활용한 프로그램 배치로 관람객 분산과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초반부에 집중된 좌석 점유율을 완화하고, 중후반까지 다양한 행사와 상영을 지속함으로써 관객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이 돋보입니다.
공간의 다양화
- 골목상영: 전주의 숨은 장소에서 펼쳐지는 독특한 상영 이벤트
- 야외상영 확대: 영화제 이후 9월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야외 프로그램
- 전주시 관광거점도시 사업 연계 행사: 가족 단위 관람객 및 일반 관광객 대상 프로그램 강화
5. 전주국제영화제의 상징 – 100 Films 100 Posters




전주국제영화제의 대표 기획 중 하나인 ‘100 Films 100 Posters’는 100명의 디자이너가 영화제 상영작 100편에 대한 포스터를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전시입니다. 올해는 전시에 더해 디자인 포럼, 학술 비평회, 워크숍 등을 통해 영화와 디자인의 접점을 더욱 심화시킵니다.
6. 전주포럼 – 영화와 사회, 함께 논하다




2024년부터 본격화된 전주포럼은 영화 산업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위기 상황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합니다. 영화인 연대, 지역영화네트워크 등이 참여하여 예산 축소, 산업 위기, 표현의 자유 문제 등을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마무리하며 – 전주국제영화제는 왜 특별한가?
전주국제영화제는 단순한 영화 상영 행사가 아닙니다.
영화의 본질, 사회와의 연결, 창작자의 미래를 고민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이 영화제는 해마다 한국 영화계에 강한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도 전주는 영화의 도시로 다시 태어납니다.
2025년 봄,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새로운 영화적 경험과 깊이 있는 예술적 만남을 통해, 관객 여러분의 마음속 프레임을 뛰어넘는 감동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축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서울 재즈 페스티벌 출연진, 타임 테이블 알아보기 (0) | 2025.05.06 |
---|---|
2025 한강달빛야시장 완벽 가이드 (0) | 2025.05.02 |
2025 연천 구석기 축제, 일정, 장소, 체험프로그램, 주차 정보 알아보기 (0) | 2025.04.26 |
2025 이천 도자기 축제 개막식 초대 가수, 축제 일정, 체험 프로그램, 주차 팁 알아보기 (3) | 2025.04.21 |
2025 진해 군항제 일정, 볼거리, 축제 방문 꿀팁 알아보기 (0) | 2025.03.19 |